PRODUCT

제품소개

축산악취 측정장치, 악취저감장치 연동제어 시스템

날로 증가되고 있는 축산악취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축사에서 방출되는 악취가스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즉시 설치된 저감설비를 구동시켜 악취농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환기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축사 내부의 공기질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하여 주면  가축 생산성을 증가되어 농가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알림시스템에서는 축사에 발생하는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수치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경보장치, 환기장치 및 저감장치들의 동작을 조건제어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는 악취측정장치 및 악취저감장치 연동제어 시스템 제품을 개발하였다.


이 제품은 축사시설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이산화타소와 같은 악취성분의 농도를 정밀하게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축사내부의 사육환경을 나타내는 온도, 습도값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이러한 환경정보 수집장치(센서)로 부터 측정된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관리사 통합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축사단위 축사관리장치, 그리고는 복수개의 축사관리장치와 통합관제시스템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유무선 통신장치들로 이루어진다.

관리사 통합관제시스템은 축사관리장치로부터 수집된 환경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관리하면서 다양한 통계분석, 조회기능을 통해 경영정보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축산환경 개선 전담기관으로 지정된 축산환경관리원으로 데이터가 전송하는 기능도 지원한다.


축사관리장치내에 설치된 ‘7인치 터치 LCD’ 제품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이 ‘상태 화면’과 ‘설정 화면’으로 설계되어 있다. 상태 화면에서는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와 같은 축사 내외부 사육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값들이 실시간 표시되며, 설정 화면에서는 ‘경보발생’, ‘환기동작’, ‘악취저감장치’에 대한 실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동작범위는 동작 시점에 대한 오프셋(offset) 개념으로서 동작하는데, 예를 들면 암모니아의 경보발생에 대한 동작시점이 “10”이고 동작범위를 “0.5”으로 입력한 경우 “10.5”에서 경보가 시작되고 “9.5”에서 정지하게 된다. 만일 동작범위 값이 없을 경우에는 시작과 정지 동작이 수시로 일어나게 되어 경보 발생에 따른 작업량이 증가되어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 장비는 "축산환경관리원(http://www.ilem.or.kr/main/main.htm)"에서 지정하는 "ICT 활용 축산악취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장비 규격 및 서비스 기준을 만족하는 제품으로서 축산환경관리원에서 관리하는 축산악취관제시스템(http://ilemoms.or.kr/)과의 연동 테스트도 완료한 상태이다.


이 제품은 축사 현대화사업을 통해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악취저감시설이 없는 경우에는 악취저감시설과 악취측정장치를 모두 설치해야 하며, 악취저감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악취측정장치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악취저감시설에는 밀폐시설, 안개분무시설, 바이오필터커튼, 포집탈취시설(세정탑)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제품을 통해 악취농도에 따라 동작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