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비(음수량 대 급이량 비율) 데이타를 제공
음수량 측정동작은 축사 내부로 공급되는 급수관에 통신기능을 지원하는 수도미터기를 설치하고 축사관리제어기와의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동작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유입되는 음수량 데이타를 측정 및 저장할 수 있다.
수도미터기에서는 통과하는 음수량에 대해서 1리터 또는 10리터 단위로 특정 펄스를 발생시키며 축사관리제어기에서는 이 펄스를 계수하고 계산을 통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음수량 데이타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제공되는 데이타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입추일로 부터의 누적 음수량 데이타를 포함하여 전일 및 금일 현재 음수량, 가축 1마리당 음수량 데이타가 제공되며 사육 품종에 따라 원종계 회사에서 권장하는 사육시기별 표준 음수량 데이타가 제공되어 현재 음수량 데이타가 적절한지에 대한 검토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데이타들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사에 있는 통합관리 컴퓨터에 실시간 저장되며 데이타베이스 저장과 통계분석을 통하여 마리당/기간별 음수량 데이터를 계산하고 조회할 수 있다.
음수량 데이터는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급이량 데이터와의 연동을 통하여 사육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수치인 수사비(음수량 대 급이량 비율) 데이타를 산출할 수 있다.
정확한 계측을 위하여 수도미터기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대부분의 농장들이 지하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1년에 1회 정도 수도미터기 관 내부에 대한 청소 및 점검이 필요하다.
수사비(음수량 대 급이량 비율) 데이타를 제공
음수량 측정동작은 축사 내부로 공급되는 급수관에 통신기능을 지원하는 수도미터기를 설치하고 축사관리제어기와의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동작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유입되는 음수량 데이타를 측정 및 저장할 수 있다.
수도미터기에서는 통과하는 음수량에 대해서 1리터 또는 10리터 단위로 특정 펄스를 발생시키며 축사관리제어기에서는 이 펄스를 계수하고 계산을 통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음수량 데이타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제공되는 데이타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입추일로 부터의 누적 음수량 데이타를 포함하여 전일 및 금일 현재 음수량, 가축 1마리당 음수량 데이타가 제공되며 사육 품종에 따라 원종계 회사에서 권장하는 사육시기별 표준 음수량 데이타가 제공되어 현재 음수량 데이타가 적절한지에 대한 검토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데이타들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사에 있는 통합관리 컴퓨터에 실시간 저장되며 데이타베이스 저장과 통계분석을 통하여 마리당/기간별 음수량 데이터를 계산하고 조회할 수 있다.
음수량 데이터는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급이량 데이터와의 연동을 통하여 사육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수치인 수사비(음수량 대 급이량 비율) 데이타를 산출할 수 있다.
정확한 계측을 위하여 수도미터기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대부분의 농장들이 지하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1년에 1회 정도 수도미터기 관 내부에 대한 청소 및 점검이 필요하다.